티스토리 뷰

기타

nslookup 사용법

인생참!! 2023. 12. 5. 14:03
728x90

nslookup 사용법

  • nslookup은 리눅스, 맥OS, 윈도우 등에서 사용할수 있는 커맨드라인 명령어
  • DNS레코드를 조회 및 네트워크 디버깅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
  • nslookup 보다는 dig 및 host 명령어 사용을 권장함.

1. nslookup 도움말 보기

nslookup
? 또는 help 실행

nslookup 도움말

 

2. 도메인 IP 조회

nslookup [도메인]

 

 

3. 원하는 레코드 조회

// MX : Mail Exchanger 도메인의 메일서버 조회
nslookup -type=mx [도메인]

// NS : Name Server 도메인 네임서버 조회
nslookup -type=ns [도메인]

// A : Address 도메인 각각의 호스트에 대한 IPv4정보 조회
nslookup -type=a [도메인]

// AAAA : 호스트에 대한 IPv6 정보조회
nslookup -type=aaaa

// CNAME : Canonical Name 기존 호스트의 별칭으로 부여한 이름을 조회
nslookup -type=cname [도메인]

// SOA : 도메인의 Start-Of-Authority 정보를 기록
nslookup -type=soa [도메인]

[ 출력 필드정보 ]
- name server	: 네임서버
- mail addr		: 네임서버 관리자 
- serial		: 업데이트 날짜
- refresh		: 슬레이브(slave)가 마스터(Master)에 데이터를 질의하는 주기
- retry			: 슬레이브(slave)가 마스터에 질의 실패시 가지는 시간틈
- expire		: 슬레이브(slave)가 마스터(Master)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간
- default TTL	: 마스터, 슬레이브로부터 테이터를 받은 DNS서버가 데이터를 보관하는 주기

// HINFO : 호스트의 CPU 정보와 운영체제 정보
nslookup -type=hinfo [도메인]

// TXT	: 임의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 레코드정보 (SPF, DKIM, DMARC)
nslookup -type=txt [도메인]

// ANY :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레코드 정보
nslookup -type=any [도메인]

 

 

4. 커맨드라인(프롬프트) 내에서 질의시

// NS : Name Server 도메인 네임서버 조회
nslookup
set type=ns
google.com

// MX : Mail Exchanger 도메인의 메일서버 조회
set type=txt
google.com

// PTR 레코드 : 메일서버에서 스팸을 거르기 위한 방법으로 역방향 레코드 설정정보 조회
set type=ptr
메일서버 ip 입력

// ANY :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레코드 정보
set type=any
google.com

728x90
250x250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otal
Today
Yesterday